규암면 호암리(虎岩里)에 옛날 백제 때에 세웠던「범바위절」터와 절샘이 있어 지금 호암리가 전부 절 안이었던 것을 알 수 있고 (虎岩寺가 있었으므로 虎岩里라함) 이 범바위절터 동편으로 산봉우리가 앙큼앙큼하게 남북으로 나란히 있는 그 가운데 봉오리에 천정대터가 있어서 지금도 백제시대의 연꽃무늬 기와가 나온다。
부소산 사자루(泗疵樓)에서 강 건너 북동으로 바라보이는 이 천정대는 백제시대에 나라의 정승 재목되는 사람을 가려내던 곳이 되어서 정승될 인물들의 성명을 쓴 것을 궤에 넣고 임금이 친히 하늘에 엄숙히 점을 하고 우리나라에 가장 막중한 정승을 선택하오니 공정한 하느님은 이 궤 속에 적은 사람 속에서 적당한 인격자에게 암시를 주십사 하며 하늘에 제사를 올리고 얼마동안 있다가 궤문을 열고 보면 과연 사람으로는 알지 못하는 도장이 찍히어 있어 그 사람으로 하여금 정승을 삼았다고 한다。
이와 같이 하늘이 정치의 중요한 인물을 골라서 백제의 국정(國政)을 말하게 한데서 그 곳을
천정대 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。
삼국유사에는 지금 부르는 천정대가 아니고 정사암(政事巖)이 있다 하였는데 천정대 동편까치내 (之川)쪽으로 보이는 바위가 있어 그 바위를 임금바위와 신하바위라 부르는데 옛적에 백제임금과 신하들이 각각 그 위에 서서 하늘에 제사 드리던 자리라고 부근에서는 말 한다
Who's 소룡
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16 | 백제 | 소룡 | 2013.11.03 | 13617 |
15 | 백제의 성립과 발전 | 소룡 | 2013.11.03 | 13600 |
14 |
백마의 전설 조룡대
![]() |
블루스카이 | 2013.11.19 | 53166 |
13 |
떠내려 온 전설의 부산(浮山)
![]() |
블루스카이 | 2013.11.19 | 37851 |
12 |
내산 은행나무와 행단제(杏壇祭)
![]() |
블루스카이 | 2013.11.19 | 23061 |
11 | 김무환 전 부여군수가 말하는 서동설화 | 블루스카이 | 2013.11.19 | 20718 |
10 | 마골과 마래방죽 | 소룡 | 2013.11.22 | 37194 |
9 | 맹괭이 방죽(만광지:萬光池) | 소룡 | 2013.11.22 | 35282 |
8 | 자온대(自溫臺)와 구드래 | 소룡 | 2013.11.22 | 34616 |
7 | 부산(浮山) | 소룡 | 2013.11.22 | 45628 |
6 | 금은화(金銀花)(忍冬草)의 전설 | 소룡 | 2013.11.22 | 21526 |
» | 천정대 | 소룡 | 2013.11.27 | 49520 |
4 | 조룡대와 백마강 | 소룡 | 2013.11.27 | 41440 |
3 | 파진산(破陣山) | 소룡 | 2014.02.03 | 16462 |
2 | 대조사(大鳥寺)와 미륵불(彌勒佛) | 소룡 | 2014.02.03 | 15133 |
1 | 은산별신 (恩山別神) | 소룡 | 2014.02.03 | 15476 |